공지사항
- 조회수
- 122
2023년 추계 공동학술대회
한국외대 외국문학연구소 ·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
주제: K-컬처 시대의 문학과 테크놀로지
일시: 2023년 11월 10일 금요일 오후 2시
주최: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, 세미오시스 연구센터,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
장소: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회관 2층 강연실 및 세미나실
1:30~2:00 | 등록 | |
2:00~2:10 | 개회사 | 정윤길(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장) |
2:10~4:10 | 세션 1: 강연실 | 사회: 서유정(한국외대) |
2:10~2:40 2:40~3:10 3:10~3:40 3:40~4:10 | 디지털시대의 문학과 교육: 문학연구와 디지털인문학의 페다고지적 융합 | 발표: 김영민(동국/린네/항주사범대) 토론: 이노신(호서대) |
Exploring the World of Books and Theatre: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셰익스피어 연구와 교육 방법 | 발표: 정유미(한국외대) 토론: 이은경(서강대) | |
정보 유기체로서의 인간과 데이터교로의 우회: 〈트랜센던스〉와 『마키나』를 중심으로 | 발표: 이난희(동국대) 토론: 성창규(목원대) | |
배명훈 『타워』에 나타나는 일상적 감시 사회 속 유토피아적 열망 | 발표: 신정주(연세대) 토론: 이성혁(한국외대) |
2:10~4:10 | 세션 2: 세미나실 | 사회: 오은영(한국외대) |
2:10~2:40 2:40~3:10 3:10~3:40 3:40~4:10 | 옥타비아 버틀러의 우화시리즈에 나타난 포스트아포칼립스 | 발표: 전소영(경희대) 토론: 장정윤(육군사관학교) |
티르소의 스콜라주의와 속임수 | 발표: 서주희(한국외대) 토론: 고슬기(한국외대) | |
문학 교육에의 명상커리큘럼 도입 제안: 에고와의 탈동일시와 관련하여 | 발표: 김선숙(마음의 과학연구소) 토론: 임종록(한양대) | |
『뉴로맨서』에 나타난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| 발표: 김희진(고려대) 토론: 심종숙(한국외대) |
4:10~4:30 4:30~6:30 | 휴식 세션 3: 강연실 | 사회: 이상빈(POSTECH) |
4:30~5:00 5:00~5:30 5:30~6:00 6:00~6:30 | 기노시타 모쿠타로에게 있어서 과학과 예술 | 발표: 문헌정(한국외대) 토론: 한세희(한국외대) |
텔레폴리스의 새벽: 백남준의 TV플래닛에서 BTS의 메타-유니버스까지 | 발표: 허혜정(숭실사이버) 토론: 황승현(인천대) | |
욘 포세의 <삼부작>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| 발표: 홍재웅(한국외대) 토론: 임형진(상명대) | |
영화 <폴리테크닉>을 통해 본 여성혐오와 폭력성 고찰 | 발표: 강준수(안양대) 토론: 이효선(연세대) | |
| | |
4:30~6:30 | 세션 4: 세미나실 | 사회: 맹문재(안양대) |
4:30~5:00 5:00~5:30 5:30~6:00 6:00~6:30 | 『제인 에어』의 음식 모티프 연구 | 발표: 최지안(경희대) 토론: 정선아(한국외대) |
오리엔트 신화 원형과 동서 신화로의 전이 과정 연구 | 발표: 신규섭(서울대) 토론: 최진석(서울과기대) | |
파스테르나크의 2차 대전 산문 연구 | 발표: 임혜영(경북대) 토론: 박선영(서울대) | |
향수 영화와 5/18의 기억 | 발표: 임경규(조선대) 토론: 김대중(강원대) | |
6:30~ | 폐회사(강연실) | 장은수(외국문학연구소장) |
게시물수정
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.
댓글삭제게시물삭제
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