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자 : 2013년 11월 2일 (토) 오후 1:30~6:00
장소 : 서울여대 인문사회관 314호, 109호
기획 주제 : 근대의 빛 아래 드러난 조선의 풍경, 그 보편성과 특수성
314호 |
개회사 |
1:30~1:35 |
권영탁(회장) |
|
기획 강연 1:35~2:35 |
1:35~2:05 |
18세기, 안과 밖에서 본 조선의 풍경 |
김태준 (동국대 명예교수) |
|
사회: 서명수(협성대) |
||||
2:05~2:35 |
British/European Views of Korea and East Asia in the Early Modern Era |
Paul. D. Tonks(연세대) |
||
사회: 이석광(고려대) |
||||
휴식 |
2:35~2:55 |
|||
자유 발표 |
2:55~4:55 |
|||
314호 |
1분과 2:55~4:55
|
좌장: 송윤미(강원대) |
||
2:55~3:35 |
루소 사상의 한국적 수용 |
송태현(이화여대) |
||
토론 1: 김중현(한국외대) 토론 2: 김계영(한국외대) |
||||
3:35~4:15 |
윌리엄 블레이크와 중도(中道) |
설태수(세명대) |
||
토론 1: 최희섭(전주대) 토론 2: 신원철(강원대) |
||||
4:15~4:55 |
셰이머스 히니와 동서양 연금술의 이미지 |
성창규(동국대) |
||
토론 1: 최진범(방송대) 토론 2: 손병용(동국대) |
||||
109호 |
2분과 2:55~4:55 |
좌장: 맹문재(안양대) |
||
2:55~3:35 |
카즈오 이시구로와 이창래의 소설 속에 나타난 부역자 담론 |
김대중(경남대) |
||
토론 1: 김종갑(동국대) 토론 2: 이선주(이화여대) |
||||
3:35~4:15 |
정신분석적 측면에서 본 『살로메』와 『광염 소나타』 비교 |
강준수(안양대) |
||
토론 1: 김주호(중앙대) 토론 2: 정윤길(동국대) |
||||
4:15~4:55 |
캐나다 문학과 관광 |
고길환(위덕대) |
||
토론 1: 권오숙(한국외대) 토론 2: 백진(고려대) |
||||
휴식 |
4:55~5:15 |
|||

